-
해외 투자 참고용 야후 파이낸스 사이트 활용방법!금융소득창작방 2020. 8. 31. 22:47
안녕하세요 창작방 주인장 지기쓰입니다.
지난시간 실시간 세계 증시 보기 사이트 활용법 1탄 : 인베스팅 닷컴에 대해 알아보았었는데요.
오늘은 해외 투자 사이트 100% 활용 방법 2탄 야후파이낸스에 대해 기록해볼까 합니다.
예전 제가 어렸을 때 야후는 마냥 놀이터같은 이미지였는데...
쉽게 야후 파이낸스 같은경우 우리나라로 치면 네이버 증권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이전에 소개해드린 인베스팅 닷컴에서는 온갖 지수들을 비교하기 정말 좋은 사이트라고 소개를 드렸었는데요.
해외 주식 뿐만 아니라 국가별 경제 지표, 세계 모든 주식 시장, 외환, 원자재, ETF, 펀드, 채권, 코인 등의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고, 지표 확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지표들을 가져와 비교 분석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요.
한국어 번역 지원 또한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해보시면 정말 도움이 많이될 사이트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좋은 사이트인만큼 부분적인 유료부분도 있고, 정신없이 현란한 광고들이 있긴합니다만,
감안하고 사용하시는데 크게 무리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인베스팅 닷컴에서 돈을 받고 홍보하는 것은 절대 아니니 오해는 하지는 말아주시구요. ^^;;)
지난 인베스팅 닷컴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하신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즐겨찾기 해놓고 나만의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터득하시면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실시간 세계 증시 보기 사이트 활용법 1탄 (인베스팅닷컴)
https://jigi-s.tistory.com/68
야후파이낸스의 기본화면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상단의 검색창에 원하시는 종목명의 티커를 적어주시면 검색이됩니다.
해외주식 같은 경우 실시간으로 시세가 보여지게됩니다.
- 야후 파이낸스 홈페이지 홈 화면 -
가끔 우리나라분들이 해외 투자하시면서 간과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시차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hts나 mts에서 보이는 가격은 실제 15분 지연된 시세를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우리가 한국에서 테슬라가 액면분할하고 500달러로 보여진다면 그 500달러의 시세는 15분 전의 시세입니다.
그래서 500달러에 매수하겠다고 500달러 매수 해놨는데 종종 체결되지 않는 경우들이 발생합니다.
분명 내가보기에는 500달러로 보이는데 500달러에 걸어놔도 체결이 안됩니다.
이미 현재 시세는 500달러보다 높아져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실시간의 가격정보를 받아보기 위해서는 실시간 사이트들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불이라는 사이트라던가, 위에 언급해드린 인베스팅 닷컴, 그리고 오늘 소개해드릴 야후파이낸스에서는,
종목들을 검색하시면 실시간 주가에 대한 정보가 나오게됩니다.
추가적으로 미국같은 경우에는 한국의 서울과 미국 뉴욕 시차는 14시간입니다.
하지만 미국과 캐나다는 올해 3월 8일부터 서머타임이 적용되어,
현재 서울에서 뉴욕 간의 시차는 13시간으로 줄어들어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미국 증시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밤 10시 30분(뉴욕 시간으로는 오전 9시 30분)에 개장합니다.
그리고 장 마감 시간은 다음날 새벽 5시(뉴욕 시간으로는 오후 4시)에 마감이되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야후 파인내스에서 테슬라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화면인데요.
현재 한국시간으로 2020년 8월 31일 오후 7시 정도 기준으로 실시간 시세가 보여지고 있습니다.
테슬라 액면분할된 시세로 바로 나오고 있네요.
자 그러면, 야후파이낸스의 종목 검색시 나오는 정보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야후 파이낸스에서는 실시간 시세, 기업에대한 써머리 개요, 기사들, 써머리 재무제표들의 정보들을 제공해줍니다.
- 야후 파이낸스 홈페이지 화면 -
독자분들의 가독성을 고려해 잠시 좌측 정렬로 하여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번]
1번부터 차근차근 알아가 보겠습니다.
제일 상단에는 종목명과 티커(TSLA), 상장된 시장(나스닥)에 대한 정보들이 보여집니다.
[2번]
442.68 달러 -25.35(-1.13%) / 454.50 달러 +11.82(2.67%) 두개로 보여지는데요.
좌측은 전일 종가를 뜻하고, 우측 가격은 미국 개장 전(미국 개장은 9시 30분에 개장합니다.) 호가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3번]
Previous Close는 전일 종가로 인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Open : 시가 / Bid : 매수호가 / Ask : 매도호가 / Day's Range : 저가와 고가를 뜻합니다.
52 Week Range : 52주 저가와 고가 / Volume : 거래량 / Avg. Volume : 최근 3개월 평균 거래량을 뜻합니다.
Market Cap : 시가총액을 뜻합니다.
Beta(5y Monthly) : 시장평균 변동률 ex) Beta(3y) : 1인경우 지수와 같이 움직입니다.
Beta ratio(베타지수)는 버클리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3이상이면 장기투자에 부정적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답이 없듯이 맹신하기 보다는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E Ratio (TTM) : PER(주가 수익 비율)입니다.
현재 2020년 S&P500지수 종목들의 평균 PER은 30.16 입니다, 또한 나스닥 평균 PER은 27.58배 입니다.
EPS : 주당 순 이익 / Earning Date : 실적 발표일을 뜻합니다.
Forward Dividend & Yield : 배당률(예상수치)과 / Ex-Dividend Date : 배당락일을 뜻합니다.
1y Target Est : 한해 예상 목표 주가를 뜻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종합적으로 훑기는 하지만 3번 지표에서는 제일 마지막에 있는 1y Target Est는 짚어봅니다.
현재 주가와 목표주가의 갭이 어느정도인지는 확인해보는 편입니다.
[4번]
Fair Value 에는 3가지로 나뉘어 지는데요,
Overvalued(고평가), Near fair value(적정평가), Undervalued(저평가)로 나뉘어집니다.
[5번]
5번 Chart Events 라는 부분 또한 참고해볼만한 지표인데요.
야후 파이낸스에서 전문가들이 차트 분석을해서 나타내어 주는데요.
현재 차트상 어느정도 위치에 있는지 대략적인 감을 잡는데 참고용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참고용이지 맹신하지는 마시라고 말씀드립니다.
Chart Events 에서는 Bearish(하락세), Neutral(중립), Bullish(상승세)의 세가 지표로 보여집니다.
다음으로는 Valuation Measures(벨류에이션 측정치)에 대한 지표입니다.
- 야후 파이낸스 홈페이지 화면 -
바로 하단에는 금융의 강조되는 부분들이 정리되어 지표로 수치화가 되어있는데요.
우측에 보시면 Stock Price History : 주가의 변동성에 대한 내용과,
Share Statisttics : 주가 수치에 대한 지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야후 파이낸스 홈페이지 화면 -
- 야후 파이낸스 홈페이지 화면 -
여기까지 해외 투자
그 외에도 여러가지 탭이 있긴하지만 중점적인 부분은 홈 화면에서 보통 많이 보는 편이여서,
집중적으로 한번 소개해 보았습니다.
사이트 외에도 요즘 증권사 hts도 워낙 기업 분석에 대한 리포트들이 잘 나와있어서 그부분만 잘 참고하셔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그래도 다른 pc를 사용하거나 외부에서 확인하기에 좋은 사이트라 생각하여 적어보게 되었습니다.
여기까지 해외 투자 참고용으로 괜찮은 야후 파이낸스 사이트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끝까지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금융소득창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게임즈 공모주 청약과 공모주 청약 방법에 대해서 (0) 2020.09.02 BTS 다이너마이트 가사와 해석, BTS 관련주 (0) 2020.09.02 실시간 세계 증시 보기 사이트 활용법 1탄 (인베스팅닷컴) (0) 2020.08.31 테슬라 배터리데이와 테슬라 주가에 대해서 (0) 2020.08.31 영끌 뜻 30대 영끌, 부동산 시장 상황 (0) 2020.08.30